시조 영의공 유적

시조 영의공 유적

축산 유적 위치도

영양 유적 위치도

유허비 음기명

 

 

yyn-01-2.jpg

경상북도 영덕군 축산면 축산리

 

yyn-01-3.jpg

축산면 축산리 산21번지(와우산)

 

-유허비(遺墟碑) : 월영대 아래 반석 위 바다에 임한 곳에 건립되어 있다. 1798년에 세웠는데 1974년에 옮겨 세웠음. 신(新) 유허비는 한글을 혼용(混用)하여 후손 한글세대가 알아 볼 수 있도록 원문(原文)을 첨삭(添削)하여 뜻을 새겨 세웠다.

 

* 유허비는 지방장관이나 장군 또는 사신에게 주어지는 신표이다.

 

yyn-01-4.jpg

남씨발상지 표지석

 

yyn-01-5.jpg

 

망향대(望鄕臺)

    죽도(竹島)에 있으며 영의공께서 고향을 바라보며 그리던 곳이다.

▲ 망향대는 죽도 산 정상 등성에 있으나 비석일부가 파손되어 있으며 대나무 숲으로 우거져 접근이 어려워 등성이 입구에 표지석을 세웠다. (2005. 3. 11)

 

yyn-01-6.jpg

망제단

   영의공께서 해가 바뀔 때 고향을 바라보고 망제를 드리던 비각남쪽 마산정상에 있다.

▲ 축산면 축산리 산21번지  -신비 2005년 3월 11일 건립

일광대(日光臺) : 유허비각 위 공께서 노닌던 곳으로 시조공께서 직접 이름을 지어 붙인곳이며와우산 주봉에 있다.

 

 

yyn-01-7.jpg

 

⑤ 축산면 축산리 산21번지 - 신비 2005년 3월 11일 건립

월영대(月影臺) : 일광대 아래에 위치에 있으며 역시 영의공이 노닐던 곳이다.

 

 

yyn-01-8.jpg

 

⑥ 축산면 축산리 산21번지 - 신비 2005년 3월 11일 건립

통사동(通使洞) : 유허비각 서쪽 망령(望嶺) 아래 남쪽 기슭, 이곳 역시 공이 사시던 곳으로 같은 해 벼랑의 바위에 동명(洞名) 석자가 새겨져 있었으나 현재는 위치확인이 안됨

 

yyn-01-9.jpg

축산면 축산리 산8-4번지

 

 

yyn-01-10.jpg

신비 2005년 3월 11일 건립

 

-이부동(吏部洞) :

유허비각(碑閣) 남쪽 2리 마산(馬山) 서쪽 봉상(烽山) 아래 공이 처음 당도하여 사시던곳으로 김이부동(金吏部洞)이라 전해오고 있으며, 1850년에 이곳 사람들이 벼랑의 바위(신비앞)에 이부동(吏部洞) 석자를 새겼으나 오랜 세월이 지나 글씨가 마모 되어 잘 보이지 않음